 |
2026학년도 9월 모고 과탐 등급컷 |
평가원이 실시한 2026년 9월 모의고사 과학탐구 영역의 확정 등급컷이 공개되었습니다. 이번 시험은 전반적으로 난이도가 중간 수준으로 평가되었으며, 과목별로 체감 난도와 원점수·표준점수 분포가 뚜렷하게 갈렸습니다.
물리와 화학은 계산형 문제가 많아 수험생들의 시간 압박이 크게 작용했고, 생명과학과 지구과학은 개념 응용 문제가 다수 포함되어 사고력을 요하는 문항들이 눈에 띄었습니다.
등급컷을 보면 1등급은 대체로 47~48점 구간에서 형성되었고, 2등급은 43~45점, 3등급은 39~41점 전후에서 결정되었습니다. 표준점수 기준으로는 1등급이 65점 이상, 2등급이 62점 내외, 3등급이 58점 선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작년 9월 모의평가보다 약간 낮은 수준으로, 특히 생명과학Ⅰ은 고난도 문항 비중이 줄어 평균이 상승하면서 등급 간 점수 차이가 다소 좁혀졌습니다. 반면 물리Ⅱ는 특정 문항에서 오답률이 높아 상위권과 중위권 간 점수 격차가 두드러졌습니다.
9월 모고 과탐 등급컷
물리
등급 |
원점수 |
표준점수 |
1등급 | 47 | 67 |
2등급 | 43 | 64 |
3등급 | 37 | 59 |
4등급 | 29 | 53 |
5등급 | 20 | 46 |
6등급 | 14 | 41 |
7등급 | 9 | 37 |
8등급 | 6 | 35 |
화학
등급 |
원점수 |
표준점수 |
1등급 | 47 | 69 |
2등급 | 41 | 64 |
3등급 | 34 | 59 |
4등급 | 25 | 52 |
5등급 | 17 | 45 |
6등급 | 12 | 41 |
7등급 | 9 | 39 |
8등급 | 6 | 37 |
생명과학
등급 |
원점수 |
표준점수 |
1등급 | 44 | 65 |
2등급 | 41 | 62 |
3등급 | 38 | 59 |
4등급 | 33 | 55 |
5등급 | 25 | 47 |
6등급 | 18 | 41 |
7등급 | 13 | 37 |
8등급 | 8 | 32 |
지구과학
등급 |
원점수 |
표준점수 |
1등급 | 42 | 67 |
2등급 | 38 | 63 |
3등급 | 34 | 59 |
4등급 | 27 | 53 |
5등급 | 20 | 47 |
6등급 | 14 | 41 |
7등급 | 10 | 38 |
8등급 | 7 | 35 |
물리Ⅱ
등급 |
원점수 |
표준점수 |
1등급 | 45 | 69 |
2등급 | 40 | 65 |
3등급 | 32 | 59 |
4등급 | 21 | 50 |
5등급 | 13 | 44 |
6등급 | 9 | 41 |
7등급 | 8 | 40 |
8등급 | 5 | 38 |
화학Ⅱ
등급 |
원점수 |
표준점수 |
1등급 | 50 | 67 |
2등급 | 47 | 65 |
3등급 | 41 | 61 |
4등급 | 28 | 52 |
5등급 | 18 | 45 |
6등급 | 11 | 40 |
7등급 | 8 | 38 |
8등급 | 6 | 37 |
생명과학Ⅱ
등급 |
원점수 |
표준점수 |
1등급 | 44 | 69 |
2등급 | 39 | 65 |
3등급 | 32 | 59 |
4등급 | 21 | 50 |
5등급 | 14 | 45 |
6등급 | 9 | 41 |
7등급 | 7 | 39 |
8등급 | 4 | 37 |
지구과학Ⅱ
등급 |
원점수 |
표준점수 |
1등급 | 46 | 70 |
2등급 | 42 | 67 |
3등급 | 31 | 59 |
4등급 | 17 | 48 |
5등급 | 11 | 44 |
6등급 | 8 | 42 |
7등급 | 7 | 41 |
8등급 | 4 | 39 |
전체적으로 과학탐구 과목별 난도는 고르게 유지되었으나, 과목 선택에 따라 체감 난도는 차이가 있었습니다. 수험생들은 등급컷 자료를 통해 자신의 위치를 객관적으로 확인하고, 남은 기간 취약 단원 보완과 기출문제 반복 학습에 집중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2등급과 3등급 사이에 밀집도가 높게 형성되어 있어 세부 단원 점검이 향후 성적 향상에 결정적 역할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