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6학년도 9모 사탐 등급컷 |
2026학년도 9월 모의평가 사회탐구 확정 등급컷이 공개되었다. 1등급 원점수 컷은 과목별로 42~50점까지 넓게 분포하고, 표준점수 상단은 65~68 구간에서 갈린다. 윤리와 사상·한국지리·경제가 표준점수 68로 상단 변별이 강했다.
세계지리·세계사는 67, 생활과윤리·정치와 법·사회문화는 66, 동아시아사는 65로 나타난다. 즉 어떤 과목은 원점수 부담이 크고, 어떤 과목은 표점 상단에서 변별을 크게 거는 구조가 병존한다.
지리 계열은 한국지리·세계지리 모두 1등급 원점수 47점으로 원점 유지가 중요하며, 표점도 67~68로 높아 상단 압축이 뚜렷하다. 생활과윤리는 45/66으로 중상위권에서 실수 허용폭이 좁고, 사회문화 42/66은 하위 구간 표점이 낮아 하단 경사가 가파르다.
윤리와 사상 42/68은 원점 컷이 낮은 대신 표점 상단에서 변별을 크게 거는 편이고, 정치와 법 47/66은 비교적 안정적 분포를 보인다. 동아시아사 50/65는 높은 원점 요구 대비 표점 이득이 크지 않고, 세계사 50/67은 원점과 표점 모두 높은 상단 압축형으로 해석된다.
9모 사회탐구 확정 등급컷
생활과윤리
등급 |
원점수 |
표준점수 |
1등급 | 45 | 66 |
2등급 | 42 | 64 |
3등급 | 35 | 58 |
4등급 | 30 | 53 |
5등급 | 23 | 47 |
6등급 | 16 | 41 |
7등급 | 11 | 37 |
8등급 | 8 | 34 |
윤리와 사상
등급 |
원점수 |
표준점수 |
1등급 | 42 | 68 |
2등급 | 36 | 63 |
3등급 | 32 | 59 |
4등급 | 24 | 52 |
5등급 | 17 | 45 |
6등급 | 12 | 41 |
7등급 | 9 | 38 |
8등급 | 7 | 36 |
한국지리
등급 |
원점수 |
표준점수 |
1등급 | 47 | 68 |
2등급 | 43 | 65 |
3등급 | 37 | 60 |
4등급 | 27 | 52 |
5등급 | 18 | 45 |
6등급 | 13 | 41 |
7등급 | 10 | 38 |
8등급 | 7 | 36 |
세계지리
등급 |
원점수 |
표준점수 |
1등급 | 47 | 67 |
2등급 | 43 | 64 |
3등급 | 38 | 60 |
4등급 | 29 | 53 |
5등급 | 19 | 45 |
6등급 | 14 | 41 |
7등급 | 8 | 37 |
8등급 | 6 | 35 |
동아시아사
등급 |
원점수 |
표준점수 |
1등급 | 50 | 65 |
2등급 | 47 | 63 |
3등급 | 44 | 61 |
4등급 | 32 | 53 |
5등급 | 21 | 45 |
6등급 | 14 | 40 |
7등급 | 10 | 37 |
8등급 | 7 | 35 |
세계사
등급 |
원점수 |
표준점수 |
1등급 | 50 | 67 |
2등급 | 47 | 65 |
3등급 | 40 | 60 |
4등급 | 29 | 53 |
5등급 | 16 | 44 |
6등급 | 12 | 41 |
7등급 | 7 | 38 |
8등급 | 6 | 37 |
경제
등급 |
원점수 |
표준점수 |
1등급 | 47 | 68 |
2등급 | 42 | 64 |
3등급 | 35 | 59 |
4등급 | 26 | 52 |
5등급 | 17 | 45 |
6등급 | 11 | 40 |
7등급 | 9 | 39 |
8등급 | 6 | 36 |
정치와 법
등급 |
원점수 |
표준점수 |
1등급 | 47 | 66 |
2등급 | 44 | 64 |
3등급 | 39 | 60 |
4등급 | 32 | 54 |
5등급 | 22 | 46 |
6등급 | 14 | 40 |
7등급 | 11 | 37 |
8등급 | 8 | 35 |
사회문화
등급 |
원점수 |
표준점수 |
1등급 | 42 | 66 |
2등급 | 39 | 63 |
3등급 | 35 | 59 |
4등급 | 30 | 54 |
5등급 | 23 | 47 |
6등급 | 17 | 41 |
7등급 | 12 | 36 |
8등급 | 7 | 32 |
마무리 글
활용 전략은 간단하다. 자신의 원점수와 표의 1~8등급 구간, 대응 표준점수를 대조해 지원 대학의 반영 방식(표준점수·백분위·환산식)에 맞춰 유리한 과목 조합을 선택하면 된다. 원점수 관리형 과목(한국지리·세계지리·정치와 법·동아시아사·세계사)은 실수 최소화와 시간 배분 훈련이 핵심이다.
표점 상단형 과목(윤리와 사상·경제·부분적으로 사회문화)은 고난도 문항에서 부분점 확보와 선택지 검증력이 승부처다. 성적표 공개 시점 이후에는 모의지원과 환산점 검증을 병행해 과목별 강점을 극대화하고, 오답 패턴을 줄이며 안정적으로 상위 등급대를 유지하는 것이 최종 결과를 좌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