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 경기 초등 교사 임용시험 경쟁률: 유치·초등·특수 접수 현황
![]() |
2026 경기도 초등 임용시험 경쟁률 |
최종 경쟁률은 10월 2일 경기도교육청 공지로 확정됩니다. 원서접수는 9월 26일 18시에 마감되었고, 2일에 공개되는 수치는 지원·취소 반영을 거친 값입니다. 아래 표는 현재까지 공개된 10월 25일 기준 경쟁률을 정리한 자료입니다.
이번 모집의 핵심은 "초등 일반 대규모 선발 vs. 특수·사립의 소수 선발" 구조입니다. 같은 지원자 수라도 모집 규모에 따라 경쟁률 체감은 크게 달라집니다. 따라서 총합 경쟁률만 보지 말고, 유·초·특 각각의 일반/장애 구분, 그리고 국립·사립 법인별 표를 함께 읽어야 실제 지원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경기도 공립 초등 경쟁 현황
분야(구분) | 모집인원 | 지원인원 | 경쟁률 |
---|---|---|---|
유치원(일반) | 202 | 1,536 | 7.60 |
유치원(장애) | 16 | 3 | 0.19 |
유치원(소계) | 218 | 1,539 | 7.06 |
초등학교(일반) | 995 | 1,770 | 1.78 |
초등학교(장애) | 82 | 51 | 0.62 |
초등학교(소계) | 1,077 | 1,821 | 1.69 |
특수학교(유치원·일반) | 15 | 88 | 5.87 |
특수학교(유치원·장애) | 2 | - | 0.00 |
특수학교(유치원·소계) | 17 | 88 | 5.18 |
특수학교(초등·일반) | 181 | 461 | 2.55 |
특수학교(초등·장애) | 15 | 7 | 0.47 |
공립합계 | 1,508 | 3,916 | 2.60 |
(10월 25일 기준) 국립·사립 경쟁 현황
학교명 | 분야 | 모집인원 | 지원인원 | 경쟁률(1순위) |
---|---|---|---|---|
한국정진학교 | 특수학교(초등) | 3 | 3 | 1.00 |
한국선진학교 | 특수학교(초등) | 4 | 6 | 1.50 |
국립합계 | 7 | 9 | 1.29 |
법인명 | 분야 | 모집인원 | 지원인원(1순위) | 지원인원(2순위) |
---|---|---|---|---|
심석학원 | 초등 | 4 | 3 | 114 |
밝은학원 | 특수학교(유치원) | 1 | 1 | 22 |
서광학원 | 특수학교(초등) | 3 | 6 | 84 |
어린이재단 | 특수학교(초등) | 3 | 3 | 19 |
주내자육원 | 특수학교(초등) | 3 | 4 | 3 |
동방사회복지회 | 특수학교(초등) | 2 | 4 | 13 |
창림원 | 특수학교(초등) | 2 | 1 | 17 |
중앙사회복지회 | 특수학교(초등) | 3 | 4 | 15 |
사립합계 | 20 | 23 | 298 |
향후 임용시험 일정과 준비
원서접수는 9월 26일에 종료되었습니다. 이후 절차는 통상적으로 ① 1차 필기(교직·전공) → ② 1차 합격자 발표 → ③ 2차(수업실연·수업나눔·면접 등) → ④ 최종 합격자 발표 순으로 진행됩니다.
- 제1차 시험일: 2025년 11월 8일(토)
- 제2차 시험일: 2026년 1월 7일(수)~1월 9일(금)
- 최종합격자 발표: 2026년 1월 28일(수)
수험표 출력·시험장 공지·제출 서류 마감일을 반드시 재확인하세요. 준비는 다음에 초점을 맞추면 좋습니다. 교직논술은 '요구 분석→근거 제시→현장 적용→개선 제언' 4단 구조를 고정하고, 전공은 최근 5개년 기출을 실시간으로 회전해 시간 배분을 체득합니다.
1차 직후엔 즉시 2차 루틴(도입–전개–정리–평가 흐름, STAR 면접 답변)을 매일 10~20분씩이라도 돌려 말하기 근육을 유지하세요.
경기도 지역가산점 체크
경기도는 공고문에서 정한 지역 인재 가산점을 운영합니다. 일반적으로 교육대·한국교원대 등 지정 대학 졸업(예정)자나 교육감 추천 입학 등 조건에 따라 구간형(예: 6점/3점)으로 부여되는 방식이 많습니다.
다만 대상 학교, 복수전공 포함 여부, 적용 단계(1차 성적 가점 등)는 해마다 달라질 수 있으니 해당 연도 경기도교육청 시행계획 공고의 원문 조항을 반드시 대조해 본인에게 적용되는 점수를 확인하세요.
정리하면, 최종 경쟁률은 10월 2일 공식 발표를 기다리되, 지금은 (1) 1차 고득점용 시간 관리, (2) 2차 말하기·실연 루틴의 조기 고정, (3) 본인의 지역가산점 해당 여부 확인에 집중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