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가을 단풍 절정시기 (단풍지도): 설악산 지리산 내장산 등 날짜

2025년 가을 단풍 절정시기 썸네일
2025년 가을 단풍

2025년 가을 단풍은 평년보다 다소 늦게 시작해 늦게 절정을 맞을 전망입니다. 첫 단풍은 9월 30일 설악산에서 시작될 가능성이 크고, 중부지방은 10월 10~22일, 지리산과 남부지방은 10월 13~29일 사이로 예상됩니다. 

단풍 절정은 보통 첫 단풍 이후 약 2주 뒤에 나타나며, 대표적으로 설악산은 10월 23일, 내장산은 11월 11일이 기준점이 됩니다. 9~10월 기온이 평년과 비슷하거나 다소 높을 것으로 보여 전반적인 일정이 평년 대비 늦춰질 가능성이 큽니다.

권역별 단풍 캘린더

강원·동해권의 고산지대가 시즌을 여는 만큼 설악·오대에서 가장 먼저 물들고, 이어 수도권 중저산과 도심 공원은 1~2주 뒤 본격 색이 들어옵니다. 충청은 월악·속리·계룡 등 고도와 사면에 따라 속도가 갈리고, 영남은 지리·가야·팔공처럼 고도가 높은 능선이 먼저 시작해 계곡으로 내려옵니다. 

호남은 내장·무등·두륜 등 명소가 많아 절정 기간을 비교적 길게 체감할 수 있으며, 한라산은 고도별 색의 층이 뚜렷해 상단→중단→하단 순으로 단계별 관찰이 가능합니다. 여행 동선은 북→남, 고지→저지, 능선→계곡 순으로 계획하면 하루 이동 대비 색 변화를 가장 풍성하게 누릴 수 있습니다.

단풍 여행 계획을 세울 때 실시간으로 전국의 유명산들이 어떻게 물들어가고 있는지 확인하고 계획을 세우시기 바랍니다.

전국 유명산 단풍 절정기

2025년 가을 단풍지도
2025년 가을 단풍지도/이미지=웨더아이 자료 캡처
산이름 해발고도(m) 첫단풍(예상일) 절정기(예상일)
금강산1,6389/2810/21
설악산1,7089/3010/23
오대산1,56510/0610/17
북한산83510/1711/04
치악산1,28210/1010/25
월악산1,09510/1810/28
속리산1,05810/2211/03
계룡산84610/1611/01
팔공산1,19210/1811/03
가야산1,43210/1711/01
내장산76310/2311/11
지리산1,91510/1310/23
무등산1,18610/2111/04
두륜산70010/2911/10
한라산1,94710/1410/30

단풍 늦어지는 이유

단풍의 핵심 트리거는 기온입니다. 낙엽수가 일 최저기온 약 5℃를 경험하기 시작하면 엽록소 분해가 빨라지며 색 변화가 본격화됩니다. 9~10월 기온이 평년보다 높으면 이 '냉각 신호'가 늦춰져 첫 단풍과 절정 시점이 함께 뒤로 밀립니다. 강수는 잎 상태를 좌우합니다. 

잦은 비는 잎 손상을 늘려 채도를 떨어뜨릴 수 있고, 반대로 지나친 건조는 조기 낙엽으로 이어져 절정 전에 잎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가장 선호되는 패턴은 맑은 하늘과 큰 일교차, 적절한 건조입니다. 또한 동일한 산이라도 사면과 그늘, 바람길, 토양 수분에 따라 색의 진행 속도가 달라 절정 기간이 넓게 퍼져 보이기도 합니다.

색이 드러나는 메커니즘도 기억해 둘 만합니다. 엽록소가 분해되면 노란 카로티노이드 색소가 먼저 드러나고, 잎 속 당분이 여러 효소 반응을 거치며 안토시아닌이 생성되면 붉은색이 깊어집니다. 타닌 성분이 산화·중합되면 갈색이 더해져 후기의 농도가 형성됩니다. 

이 때문에 일교차가 큰 맑은 날씨가 지속되면 노랑·주황·적색의 층이 선명하고, 흐리고 따뜻한 날이 이어지면 색 대비가 약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일정·촬영·안전 팁

일정은 '첫 단풍 + 7~14일'을 기준으로 잡으면 실패 확률이 낮습니다. 고지대는 시작과 절정이 빠르고, 저지대로 갈수록 1주 이상 늦어집니다. 가능하면 평일 오전 시간대를 활용해 혼잡을 피하고, 주말에는 주차 대기와 입장 통제를 고려해 일출 직후 혹은 일몰 1~2시간 전으로 타임테이블을 조정하세요. 

촬영은 순광으로 색 재현을 먼저 확보한 뒤, 사광으로 입체감을, 마지막에 역광으로 윤기와 투과광을 담으면 구성이 안정적입니다. 능선의 색이 살짝 옅어질 때 계곡으로 내려오면 '두 번째 절정'을 만나는 느낌을 얻을 수 있습니다.

안전은 기본입니다. 일몰 1시간 전에는 하산을 시작하고, 국립공원과 지자체의 통제 구간, 탐방 예약 여부를 사전 확인하세요. 일기 예보는 출발 전날과 당일 아침 두 차례 확인하고, 특히 강풍 특보와 시간당 강수 강도를 주의하세요. 

미끄럼 방지 트레킹화와 방풍 재킷, 무릎 보호대, 헤드램프는 가을 산행의 필수품입니다. 대중교통과 셔틀, 순환형 주차장을 병행하면 인기 명소에서도 이동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본 글의 일정과 수치는 민간기상기업 웨더아이의 발표 자료를 인용·요약한 것입니다. 실제 단풍 시기는 지역별 기온, 강수, 바람, 일사량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출발 전 국립공원·지자체 공지 및 최신 기상 정보를 함께 확인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