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학년도 8월 더프 국어 난이도 · 예상 등급컷 · EBS 연계 (빠른정답)

2026학년도 8월 더프 국어 난이도 썸네일
2026학년도 8월 더프 국어 난이도 분석

2026학년도 수능을 앞두고 실시된 8월 더 프리미엄 모의고사(더프) 국어 영역은 평가원의 출제 기조를 충실히 반영하면서도 실전 적응력을 점검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전반 난이도는 7월 더프보다 다소 완화되었다는 체감이 우세했으나, 문항별로는 독서의 과학·사회 지문과 문학(현대소설)에서 시간 관리의 압박이 느껴졌다는 반응이 많았다.

독서는 6월 모평 유형을 따르되 사회 지문이 주제 통합형으로 제시되었고, 과학 지문은 배경지식 유무에 따라 체감 난도가 갈렸다. 

문학은 현대시 해석이 까다롭지만 문제 자체는 평이했고, 현대소설은 감상·추론을 동시에 요구해 풀이 난도가 높았다. 화법과 작문은 대체로 평이했으나, 언어와 매체 36번은 풀이 시간이 길고 37번은 새로운 유형이 등장해 변별력을 형성했다.

8월 더프 국어 난이도 핵심 포인트

  • 전반 체감 난이도는 7월 대비 하향. 다만 문학·언매 특정 문항에서 변별력 확보.
  • 독서: 사회(주제 통합형)·과학(낯선 소재) 지문에서 배경지식 의존도와 추론력이 관건.
  • 문학: 현대소설 작품 맥락+선택지 검증 병행 필요. 현대시는 해석은 까다롭지만 정답 근거는 비교적 명확.
  • 언어와 매체: 음운 변동·단어 형성 규칙 적용 문항이 시간 소모를 유발. 새로운 유형(37번) 적응력 요구.

오답률이 높았던 문항

실수·개념 혼동이 잦았던 문항은 주로 독서의 과학·사회 지문, 문학의 현대소설, 언어와 매체의 음운 변동·단어 형성에서 확인됐다. 

특히 36번(단어의 형성), 35번(음운 변동)은 규칙 적용과 예외 판단을 동시에 요구해 시간 부담이 컸고, 현대소설(27번)은 서술 관점·맥락 정보를 종합해 선택지를 검증해야 해 체감 난도가 높았다.

국어 오답률 TOP 7

문항번호 화법과 작문 배점 문항번호 언어와 매체 배점
27 문학·현대소설 3점 27 문학·현대소설 3점
11 독서·과학 2점 11 독서·과학 2점
8 독서·사회 3점 36 언어와 매체·단어의 형성 2점
12 독서·과학 3점 35 언어와 매체·음운 변동 3점
6 독서·사회 2점 8 독서·사회 3점
15 독서·인문 2점 12 독서·과학 3점
17 독서·인문 3점 6 독서·사회 2점

Tip) 위 문항들은 지문 구조 파악 → 근거 문장 표시 → 선택지 검증의 순서를 엄격히 적용하면 실수를 줄일 수 있다.

EBS 연계 양상

이번 8월 더프는 ‘수능완성’·‘수능특강’의 제재·작품을 폭넓게 활용해 연계 체감을 높였다. 독서에서는 ‘독서 교육에서의 지식’, ‘일주기 리듬’ 등 직간접 연계가 확인되었고, 문학에서는 고전소설 수궁가, 현대시 ‘석문’, 고전시 ‘징용당유가’가 교재와 연결되었다. 반면 ‘광장’, ‘임진별곡’ 등 비연계 작품도 배치해 변별력을 확보했다.

영역 제재 및 작품 EBS 연계
독서론독서 교육에서의 지식수능완성 240쪽
사회복식 부기와 본식 회계의 손해 배상 책임수능완성 190쪽
과학일주기 리듬수능완성 189쪽
인문묵자의 사상수능완성 136쪽
고전소설작자 미상, ‘수궁가’수능특강 141쪽
현대시조지훈, ‘석문’수능완성 202쪽
현대시서정주, ‘꽃밭의 독백·사슴 단장’비연계
현대소설최인훈, ‘광장’비연계
고전시이별, ‘징용당유가’수능특강 326쪽
고전시박인로, ‘임진별곡’비연계
시나리오신연식 각본, ‘동주’수능특강 223쪽
  • 연계 작품은 단순 암기보다 주제·표현·출제 방식까지 분석해야 변형 문항에 대응 가능.
  • 비연계 작품은 수능 실전의 변별 구간을 가정한 배치로, 지문 독해 절차(구조→근거→검증) 훈련이 필수.

향후 대비 전략

  1. 독서: 사회·과학 통합형에 대비해 지문 구조(문단 기능, 도식) 표시 습관화. 배경지식 의존을 줄이고 근거 문장 재확인 절차를 고정 루틴화.
  2. 문학: 현대소설은 서술 관점·인물 심리의 변화 지점을 체크하고 선택지 키워드(전제·강조·반전)를 검증. 현대시는 핵심 심상과 통사적 전개를 먼저 잡은 뒤 보기와 대조.
  3. 언어와 매체: 음운 변동·단어 형성 규칙표를 스스로 작성해 예외 사례까지 암기. 36·37번 유형은 시간 배분(문항당 목표 시간)과 오답노트로 반복 훈련.
  4. EBS 연계: ‘수능완성·수능특강’의 연계 제재는 원문 맥락→핵심 개념→문항화 포인트 순으로 정리. 유사 제재 비연계 지문으로 변형 훈련까지 이어가기.

종합하면, 8월 더프 국어는 7월 대비 평이했으나 특정 영역·문항에서 안정적 변별을 형성했다. 오답률이 높았던 문항과 EBS 연계를 축으로 복습 루틴을 설계하면 9월 모평→수능까지 학습 곡선을 매끄럽게 이어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