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서울대 수시 지역균형] 경쟁률 및 50% · 70% 합격컷 (2026 전망)

2025학년도 서울대학교 수시 지역균형전형의 최종 등록자 성적이 공개되면서, 수험생과 학부모들은 자신의 성적 위치와 지원 가능성을 점검하기 위한 기준을 갖게 되었습니다. 서울대는 수시 지역균형전형을 통해 각 고등학교의 추천을 받은 우수 학생을 선발하며, 내신 성적과 학교생활기록부의 충실도, 전공적합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


2025-서울대-수시-합격컷-썸네일
2025학년도 서울대 수시 지역균형전형


올해 발표된 데이터에 따르면, 심리학과는 50%컷 1.09등급, 70%컷 1.26등급, 경제학부는 1.09등급과 1.11등급 등 전통 인기학과들은 1점 초중반에서 커트라인이 형성되었습니다. 반면 일부 자연계열 학과나 중복지원을 피한 학과의 경우 1.3~1.5등급대까지도 최종 등록자가 형성되어, 중상위권 학생들에게는 전략적인 학과 선택이 중요한 변수임을 보여줍니다.



1. 서울대 지균 50%컷 / 70%컷

모집단위 모집인원 경쟁률 50% cut 70% cut
인문계열 28 3.75:1 1.33 1.40
역사학부 9 2.44:1 1.36 1.43
정치외교학부 17 2.59:1 1.11 1.21
경제학부 7 3.14:1 1.09 1.11
사회학과 6 4.00:1 1.09 1.12
심리학과 6 2.83:1 1.09 1.26
지리학과 6 2.33:1 1.39 1.39
사회복지학과 6 4.00:1 1.22 1.32
수리과학부 7 3.14:1 1.17 1.18
통계학과 6 4.33:1 1.13 1.15
물리·천문학부 물리학전공 8 4.00:1 1.21 1.24
화학부 7 4.43:1 1.18 1.39
생명과학부 7 11.86:1 1.16 1.18
지구환경과학부 5 4.20:1 1.22 1.39
간호대학 10 6.60:1 1.53 1.60
경영대학 26 2.92:1 1.16 1.22
건설환경공학부 8 3.38:1 1.19 1.21
기계공학부 16 4.25:1 1.25 1.30
재료공학부 15 3.07:1 1.21 1.25
전기·정보공학부 11 4.45:1 1.06 1.10
컴퓨터공학부 6 5.83:1 1.09 1.11
화학생물공학부 12 4.42:1 1.26 1.30
건축학과 8 4.13:1 1.28 1.32

2. 서울대 지균 50%컷 / 70%컷

모집단위 모집인원 경쟁률 50% cut 70% cut
  산업공학과  4 8.50:1 1.28 1.28
에너지자원공학과 5 4.00:1 1.15 1.27
원자핵공학과 9 4.67:1 1.14 1.28
조선해양공학과 6 4.50:1 1.52 1.54
항공우주공학과 4 3.50:1 1.18 1.18
농경제사회학부 11 4.64:1 1.23 1.23
식물생산과학부 6 5.83:1 1.33 1.34
산림과학부 5 4.00:1 1.44 1.53
식품 · 동물생명공학부 6 5.50:1 1.43 1.48
응용생물화학부 9 7.78:1 1.19 1.23
조경 · 지역시스템공학부 5 4.60:1 1.42 1.46
바이오시스템·소재학부 7 7.14:1 1.35 1.37
스마트시스템과학과 4 9.00:1 1.40 1.40
국어교육과 5 3.60:1 1.14 1.14
영어교육과 4 2.50:1 1.13 1.13
독어교육과 4 1.50:1 1.28 1.28
불어교육과 5 1.40:1 1.55 1.55
사회교육과 5 2.40:1 1.20 1.31
역사교육과 5 1.00:1 - -
지리교육과 5 1.40:1 1.37 1.37
윤리교육과 3 2.33:1 - -
수학교육과 4 3.75:1 1.10 1.10
물리교육과 3 4.00:1 - -
화학교육과 6 1.83:1 1.44 1.50
생물교육과 5 3.80:1 1.26 1.26
지구과학교육과 3 3.67:1 - -
체육교육과 2 3.50:1 - -
소비자아동학부 소비자학 6 4.67:1 1.22 1.32
소비자아동학부 아동가족학 5 2.40:1 1.44 1.44
식품영양학과 4 6.00:1 - -
의류학과 8 2.75:1 1.72 1.90
수의예과 6 6.00:1 1.11 1.13
약학계열 11 13.09:1 1.05 1.12
의예과 39 8.97:1 1.03 1.06
첨단융합학부 30 7.03:1 1.18 1.26
자유전공학부 20 5.85:1 1.20 1.26


3. 2026 수시 지균, 치열해질 전망

2026학년도 입시는 여러 구조적 변화로 인해 지역균형전형을 포함한 수시 전형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주목할 점은 다음 세 가지입니다.

① 의대 모집인원 축소

정부는 의대 정원 확대 계획을 밝히면서도, 2026학년도부터는 일부 학과에서 학사 편입 전환, 정원 조정 등으로 인해 정시 선발 비중이 늘어나고, 수시 모집 인원이 줄어들 수 있음을 예고했습니다. 그 결과, 의대를 목표로 하던 최상위권 수험생 일부가 서울대 지역균형 등으로 진로를 변경하거나 중복 지원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서울대 자연계열 특히 이공계열 학과의 내신 커트라인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② 고3 수험생 증가

2026학년도는 학령인구 감소세가 잠시 주춤하고, 2023~2025년 코로나기 이후 진학유보자 회복기로 들어서면서 고3 수험생 수가 2025년보다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수험생이 많아지면 경쟁은 심화되고, 서울대 지역균형처럼 학교 추천 인원이 제한된 전형은 더 높은 내신과 준비도를 요구하게 됩니다.

③ N수생 증가 및 수시 관심 확대

최근 3년간 N수생 비율은 꾸준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정시 중심으로 재도전을 하던 N수생들이 2025학년도 수시에서 높은 합격률을 보이면서, 2026학년도엔 수시 지역균형에도 전략적으로 지원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이는 수시 경쟁자 풀이 넓어졌다는 뜻으로, 고3 재학생 입장에서는 내신뿐 아니라 생활기록부 활동, 전공적합성, 독서 등 정성 요소까지 더욱 치열한 경쟁이 예상됩니다.


4. 서울대 수시, 어떻게 준비할까?

서울대 지역균형전형의 데이터는 '최저등급'이 아닌 '50%, 70% 커트' 기준이므로 실질적인 합격 가능선을 판단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자유전공학부는 50%컷 1.20등급, 70%컷 1.26등급으로, 1.2~1.3등급대 수험생들에게 실질적 지원 가능성이 있는 학과임을 보여줍니다.

2026학년도에 지역균형전형을 목표로 한다면, 우선 내신은 1.1~1.3등급 이내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 위에 ▲전공 관련 독서와 보고서 작성 ▲전공 연계 탐구 활동 등이 강력한 평가 요소로 작용합니다. 자소서가 폐지된 만큼 생활기록부의 객관적 기록이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5. 2026 서울대 수시 전략 중요

2025학년도 서울대 지역균형전형은 여전히 전국 최상위권 학생들이 포진하는 전형이지만, 1.3~1.4등급대 합격자도 다수 존재함을 데이터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학업 외 역량이 평가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방증합니다.

의대 이탈 수험생 유입, 수험생 수 증가, N수생 유입 등 변화하는 입시 구조를 고려한 전략 수립이 2026학년도 입시의 핵심입니다. 단순한 등급이 아닌, 지원 학과별 특성과 실질 커트라인 분석을 바탕으로 맞춤형 준비를 한다면, 서울대 수시 합격의 문은 충분히 열려 있습니다.


출처: 대학알리미 / 서울대학교 입학본부 / 교육부 통계자료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