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내일배움카드란? 지원금액] 지원자격 · 유효기간 · 신청방법 (FAQ)

국민내일배움카드는 취업이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해 필요한 직업훈련비를 국가가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고용24 홈페이지를 통해 카드 발급부터 교육과정 검색, 수강 신청까지 한 번에 진행할 수 있어 구직자와 재직자 모두 활용도가 높습니다. 


국민 내일배움카드 지원금과 자격 썸네일
국민내일배움카드/AI로 생성한 이미지

특히 5년 동안 최대 300만~500만원까지 훈련비를 지원받을 수 있어 직무 스킬 업그레이드나 자격증 취득을 준비하는 분들에게 큰 도움이 됩니다.

본 글에서는 국민내일배움카드의 개념부터 지원자격, 지원내용, 신청방법, 신청기간까지 상세하게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처음 접하는 분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했으니, 발급 전 꼭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국민내일배움카드란?

국민내일배움카드는 고용노동부가 운영하는 직업능력개발 지원제도입니다. 구직자, 재직자, 자영업자 등 대부분의 국민이 신청 가능하며, 온라인(고용24) 또는 고용센터 방문을 통해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카드 발급 후 지정된 직업훈련 과정에 참여하면 훈련비의 일부 또는 전액을 정부가 부담합니다.

카드 유효기간은 5년이며, 최초 지원한도 300만원을 모두 사용한 경우 일정 요건 충족 시 200만원이 추가 지원되어 최대 500만원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유효기간이 끝나면 잔액은 소멸하므로 지속적인 훈련 계획이 있다면 기간 내 활용을 권장합니다.



지원자격 및 제외대상

대부분의 국민이 발급받을 수 있지만, 아래에 해당하는 경우 지원이 제한됩니다.

  • 공무원·사립학교 교직원
  • 만 75세 이상
  • 대규모 기업 근로자로서 월 임금 300만원 이상 & 만 45세 미만
  • 월 소득 500만원 이상의 특수형태근로종사자
  • 법인대표(사업 1년 미만 또는 월 소득 300만원 이상)
  • 연 매출 4억 이상 자영업자
  • 대학·대학원 재학생(졸업까지 2년 이상 남음) 및 고교 1~2학년
  • 생계급여 수급자(조건부 수급자·조건부과 유예자는 예외)
  • 타 기관에서 교육·훈련비를 지원받고 있는 자
  • 부정수급자 및 지원금 반환 미이행자 등

지원내용

구분 내용
훈련비 지원 5년간 300만원 기본 지원, 요건 충족 시 200만원 추가(총 한도 최대 500만원)
본인 부담률 훈련과정 직종평균 취업률·소득수준·참여유형 등에 따라 0~55% (일반적으로 15~55%)
취약계층 우대 저소득층·장애인·한부모가족 등은 본인부담이 없거나 매우 낮음
전액 지원(특례) 국가기간·첨단산업 관련 훈련은 1회에 한해 본인부담 없이 전액 지원
훈련장려금 140시간 이상 과정: 출석률 요건 충족 시 월 최대 11만6천원(자영업자 피보험자는 월 최대 36만원)

훈련장려금은 하루 계획된 교육시간과 월 실출석 일수에 따라 산정되며, 5시간 미만은 일 2,500원(월 최대 5만원), 5시간 이상은 일 5,800원(월 최대 11만6천원)이 지급됩니다. 실업급여 수급 중이거나 일부 재정지원일자리사업 참여 시에는 지급 제외될 수 있습니다.



신청방법

국민내일배움카드 훈련기관 찾기
국민내일배움카드 훈련과정 기관/이미지=교용24 캡처

  1. 구직 신청 — 실업자는 고용24에 구직 등록 필요. 재직자·자영업자는 일부 장기과정(예: 국가기간·전략산업 직종훈련, K-디지털 트레이닝, 일반고·돌봄 특화훈련) 수강 시 구직 등록 필요.
  2. 카드 발급 신청 — PC·모바일에서 온라인 신청 또는 거주지 관할 고용센터 방문 신청. 자영업자·특수형태근로종사자 등은 증빙서류가 요구될 수 있음.
  3. 실물 카드 수령 — 우편 수령 또는 은행 방문 수령(발급 확인서·신분증 지참).
  4. 수강 신청 — 원하는 교육과정을 검색·신청하고 국민내일배움카드로 결제(본인부담금도 카드로 결제).
  5. 수강 — 성실히 출석(출석률 저조 시 장려금 미지급 가능, 수강 의사 없음으로 판단되어 중단될 수 있음).
  6. 수강 종료·평가 — 종료 후 30일 내 만족도 조사 제출(미제출 시 마지막 달 장려금 미지급).

신청기간 및 주의사항

국민내일배움카드는 연중 상시 신청 가능합니다. 다만 예산·정원에 따라 일부 과정이 조기 마감될 수 있으니, 개강 시기(상·하반기) 전에 미리 발급받아 두면 수강 계획을 유연하게 세울 수 있습니다.

거짓 또는 부정한 방법으로 지원을 받거나 받으려 한 경우 모든 지원금 지급이 중지되고, 이미 받은 금액의 최대 5배를 반환해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정당한 사유 없이 중도 포기할 경우 횟수에 따라 20만원(1회)·50만원(2회)·100만원(3회)이 한도에서 차감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FAQ)

Q. 훈련비 자기부담률은 어떻게 정해지나요?
훈련과정 직종평균 취업률, 근로장려금 수급 여부, 국민취업지원제도 참여 유형 등에 따라 정부 승인 훈련비의 0~55% 범위에서 결정됩니다. 취약계층(저소득층, 장애인, 한부모가정 등)은 부담이 없거나 매우 낮습니다.

Q. 300만원을 다 썼는데 더 받을 수 있나요?
계좌 유효기간 내에 요건을 충족하면 200만원을 추가 지원(총 한도 500만원) 받을 수 있습니다. 예: 기간제·파견·단시간·일용근로자, 고용위기지역·특별고용지원업종 종사자,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 장애인, 자립준비청년, 한부모가족, 북한이탈주민 등. 해당 사실을 증빙해 고용센터에서 신청합니다.

Q. 훈련장려금은 얼마나 받나요?
140시간 이상 과정 수강 시 출석률 80% 이상이면 하루 5시간 미만은 일 2,500원(월 최대 5만원), 5시간 이상은 일 5,800원(월 최대 11만6천원)이 지급됩니다. 실업급여 수급 중이거나 일부 재정지원일자리사업 참여 시에는 지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Q. 특수형태근로종사자는 누구를 말하나요?
보험모집인, 건설기계 소유 기사, 학습지 교사, 골프장 캐디, 택배·퀵서비스·대리운전 기사, 신용카드·대출 모집인, 방문판매원, 강사 등 도급(위탁) 계약으로 근로자와 유사하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직군을 말합니다.


마무리

국민내일배움카드는 구직자, 경력단절자, 재직자, 자영업자 모두에게 실무 역량을 체계적으로 강화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지원자격과 본인부담률, 신청 절차, 장려금 요건을 미리 확인해 두면 예산·시간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계좌를 발급받고, 커리어 성장을 위한 훈련 계획을 시작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