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의사 연봉 총정리] 병원 규모별 · 과별 전문의 수입
2025년 현재, 의사의 연봉은 진료과와 근무지의 규모에 따라 천차만별입니다. 의대 입학을 목표로 하는 학생이나 학부모라면, 단순히 '의사=고소득'이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실제 병원에서 받는 연봉, 수술/시술 빈도, 개원의 수입 등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
의사 연봉 알아보기 |
이 글에서는 '대형병원', '중형병원', '의원 및 개원의'로 병원 규모를 나누고, 각 규모에서 인기 진료과인 내과·정형외과·피부과의 2025년 전문의 연봉을 정리해보았습니다. 데이터는 보건의료노조, 의사전문포럼, 국세청 업종별 평균 소득 자료 등을 종합하여 구성하였습니다.
1. 병원 규모별 과별 전문의 연봉
진료과 | 대형병원 | 중형병원 | 개원의(의원) |
---|---|---|---|
내과 | 2억원 | 1.7억원 | 1.4~1.6억원 |
정형외과 | 3억원 이상 | 2.3억원 | 2.5~4억원 |
피부과 | 4~5억원 | 3억원 | 4~8억원 |
※세전 기준입니다.
※같은 규모, 같은 전공이도 지역별로 연봉에 큰 차이가 있습니다.
📌규모별 연봉 해설
- 대형병원: 대학병원, 수도권 상급종합병원 중심. 근무 강도는 높지만 인지도와 교육 기회가 좋음.
- 중형병원: 지역 종합병원 수준으로, 연봉은 다소 낮지만 시술량은 많음.
- 개원의: 입지, 시술량, 마케팅에 따라 연봉 편차가 크며, 피부과·정형외과가 수익성 높음.
2. 의대 입학부터 전문의까지
- 의예과 2년 + 본과 4년: 총 6년
- 인턴 1년 + 레지던트 3~5년: 수련과정 포함 시 총 10~12년 소요
- 추가 선택: 펠로우 과정, 개업, 연구직, 공공의료 등 다양한 진로 가능
3. 마무리
2025년 기준 의사의 연봉은 단순히 고소득이라는 이미지에 그치지 않습니다. 각 진료과와 병원 형태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나며, 개업 여부, 입지 조건, 전문 진료 분야까지 고려해야 정확한 판단이 가능합니다. 의사가 되기까지 긴 여정이 필요하지만, 그만큼 높은 전문성과 사회적 기여를 겸비한 직업임은 분명합니다.
출처:
- 대한의사협회 (2025 의료계 연봉 동향)
- 국세청 업종별 평균소득 통계
- 닥터스데이터/의사포럼 내부 통계
- 보건의료노조 통계보고서 2025년 상반기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