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학년도 대비 7월 시행 더 프리미엄 모의고사(더프)의 사회탐구·과학탐구
확정 등급컷과 수능 예상 보정 등급컷이 2025년
7월 23일 공개되었습니다. 대성학력개발연구소 공지에서 과목별 세부 점수를 반드시
확인한 뒤 전략에 반영하세요.
보정 등급컷은 회차별 난이도, 응시 집단(재수생 비율, 상위권 집중도 등) 차이를
고려해 실제 수능 점수 분포에 가깝게 환산한 참고 지표입니다. 서로 다른 모의고사
간 성적 비교, 전국 대비 위치 파악 때 필수로 참조하세요.
1. 확정컷-보정컷, 어떻게 다르나
확정컷은 해당 시험 응시자 집단 내부에서 확정된 등급 경계선입니다. 반면
보정컷은 “실제 수능에서 이 정도 위치”를 추정하려는 보정값이므로 수능 전략 세울
때는 보정 데이터를 우선 보고, 확정 데이터를 보조 지표로 활용하는 방식이
안전합니다.
탐구는 선택과목별 응시자 수와 성적 분포가 크게 달라 집단 왜곡이 잦습니다.
상위권이 몰린 과탐 소수 과목(예: 일부Ⅱ과목)은 원점수 몇 점 차이로 등급이
출렁이고, 응시 기반이 넓은 사탐 과목은 상대적으로 완만한 편입니다. 반드시
“확정컷 ↔ 보정컷 격차”를 비교해 실제 위험 구간을 판별하세요.
입시 활용 3단계 체크리스트
-
수시 최저 가늠 – 대학별 반영 과목 수·등급 합 기준에
확정/보정 데이터를 대입.
-
정시 가상 지원 – 군별 환산식에 점수 입력, 경계권이면 최소
+2~3점 버퍼 확보.
-
과목 균형 점검 – 강/약과목 간 백분위 격차를 기록해 8~9월
보완 플랜 수립.
2. 학습 보완 루틴 제안
등급컷 대비 현재 점수 차이를 “잔여 여유 점수(버퍼)”로 계산하고 주차별 목표를
세우세요. 기출+변형 3회 반복 → 제한시간 실전 모드 → 오답 유형 정리 루틴을
8월까지 한 사이클 돌린 뒤, 9월 모평으로 수정·보강하면 안정권 진입 확률이
높아집니다.
이의신청 반영, 추가 표본 수집, 통계 재보정에 따라 등급 경계가 미세 조정될 수
있습니다. 대성학력개발연구소 공지, 주요 입시업체 분석 자료를 수시로 점검해
최신 데이터를 반영하세요. 하나의 컷에 일희일비하지 말고 기간별 추세 그래프를
만들어 보는 것이 장기 전략에 유리합니다.
3. 사회탐구 확정 등급컷
|
2026 7월 더프 생윤, 윤사 등급컷/이미지=대성학력개발연구소
|
|
2026 7월 더프 한지 세지 등급컷/이지지=대성학력개발연구소
|
|
2026 7월 더프 동사, 세계사 등급컷/이미지=대성학력개발연구소
|
|
2026 7월 더프 경제, 정법 등급컷/이미지=대성학력개발연구소
|
|
2026 7월 더프 사문 등급컷
|
4. 과학탐구 확정 등급컷
|
2026 7월 더프 물리, 화학 등급컷/이미지=대성학력개발연구소
|
|
2026 7월 더프 생명, 지구 등급컷/이미지=대성학력개발연구소
|
|
2026 7월 더프 물리2, 화학2 등급컷/이미지=대성학력개발연구소
|
|
2026 7월 더프 생명2, 지구2 등급컷/이미지=대성학력개발연구소
|